치의학

치과 석션에 대하여 – 진료실의 기본, 그 손끝에서 시작됩니다

Biosalad 2025. 4. 18. 19:03
반응형

치과 석션에 대하여 – 진료실의 기본, 그 손끝에서 시작됩니다

진료는 혼자서 완성되지 않습니다. 의사의 손이 닿지 못하는 곳에, 진료보조자의 섬세한 손길이 닿아야만 가능한 일들이 있습니다. 그 첫걸음이 바로 ‘석션’입니다.

 

1. 석션의 정의와 역할

Suction(흡입)은 진료 도중 구강 내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행위입니다. 진공압을 이용해 타액, 혈액, 물 등을 제거하여 치료 부위를 명확히 하고,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suction tip이라 하며, 일회용 플라스틱이나 재사용 가능한 금속 재질로 나뉩니다.

 

 

2. 흡입기를 잡는 두 가지 방법

  • Palm grasp: 손바닥 전체로 쥐는 방식. 조직 견인에 유리합니다.
  • Modified pen grasp: 연필 잡듯이 잡는 방식. 섬세한 조작에 적합합니다.

상황에 따라 두 방법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3. 리트랙션과 흡입 시 주의사항

치료 중 시야 확보나 연조직 보호를 위해 석션팁으로 뺨이나 혀를 부드럽게 젖혀주는 행위를 리트랙션(retraction)이라 부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강하지 않게, 자연스럽게’ 입니다.

  • 잇몸 뼈를 눌러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연조직을 무리하게 끌어당기지 않고, 환자의 불편을 고려해 부드럽게 시행합니다.

사람을 다루는 일에서는 늘 'gentle'해야 함을 잊지 마십시오.

 

4. 석션 팁 위치 – 어디는 되고, 어디는 안되는가?

  • 금지: 전치부 치은협 이행부 – 아픔 유발
  • 주의: 연구개 부위 – 구토 반사
  • 적절: 7번 치아 구후결절 – 물이 잘 고이는 곳
  • 주의: 혀를 강하게 누르면 혀 반사 유발

5. 부위별 석션 팁 위치 요령

상악

  • 우측 구치부: 구개측 혹은 하악 설측
  • 전치부: 순면 치료 시 팁은 구개측 / 설면 치료 시 순측
  • 좌측 구치부: 협측 또는 하악 구치부 교합면

하악

  • 우측 구치부: 설측에 위치, 혀·뺨 리트랙션 동반
  • 전치부: 순면 치료 시 설측 / 설면 치료 시 순측
  • 좌측 구치부: 협측 혹은 설측에 위치

6. 소아 진료 시 주의사항

소아 환자는 석션 소리에 민감할 수 있으므로, 빨대나 공기청소기 같은 비유로 설명하며 거부감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놀라지 않도록 천천히 접근하고, 가능한 한 시야를 가리지 않게 위치시킵니다.

 

7. 에어 & 물 시린지 사용 시 팁

  • 사용 전 반드시 환자에게 예고
  • 세기를 조절하여 자극 최소화
  • 목젖 근처 직접 조사는 피함

 

 


이처럼 석션은 단순히 입 안의 물을 빼내는 행위가 아닙니다. 치료에 방해되지 않게, 환자를 편하게, 그리고 치료가 끊기지 않도록 도와주는 모든 조력의 시작입니다.

진료실에서 ‘잘하는 사람’이란, 석션을 잘하는 사람일지도 모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