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4

의치용 레진 심화 탐구: 전통 vs 인젝션 몰딩 레진

Conventional acrylic resin과 Injection molding resin의 차이와 임상 활용법을 분석합니다. 의치는 단순히 저렴한 대체물이 아닙니다. 환자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보철물입니다. 그리고 그 기반이 되는 것이 바로 '의치용 레진'입니다. 오늘은 Conventional acrylic resin과 Injection molding resin을 비교하며, 임상 선택 기준을 세워보겠습니다.1. Conventional Acrylic Resin (전통 아크릴 레진)구성: PMMA (Polymethyl methacrylate)경화 방식: 열중합 (Heat cure)장점경제성 우수수리 및 추가 작업 용이오랜 임상 경험과 검증단점Polymerization shrinkage 존재장기 ..

치의학 2025.05.14

크라운과 브릿지 시멘트 선택, 이걸 모르면 위험합니다

Resin cement 종류, Dual-cure vs Light-cure 차이, 적응증까지 완전 정리. 임상 실수를 줄이는 선택법 보철 수복의 마지막 관문, 시멘트. 하지만 시멘트 선택이 잘못되면 아무리 정성껏 만든 크라운이나 브릿지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Dual-cure, Light-cure 레진 시멘트의 차이와 임상에서의 똑똑한 선택 기준을 정리합니다.1. 레진 시멘트의 종류Dual-cure Resin Cement (듀얼 큐어)특징: 화학중합 + 광중합 모두 가능장점: 광이 도달하지 않는 깊은 부위도 중합 가능단점: 색 안정성은 Light-cure에 비해 약간 열세주로 크라운, 브릿지, 포스트 접착 등 다양한 보철물 고정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Light-cure Resin Cement (라..

치의학 2025.05.13

임시 수복재료의 세계 : Cavit부터 Fermit까지 완벽 정리

치과 임시 수복재료의 종류, 특징, 적용 상황별 선택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치과 진료에서 임시 수복은 단순한 중간 단계가 아닙니다. 임시 수복의 완성도가 전체 치료 결과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Cavit, IRM, Fermit 등 대표적인 임시 수복재료를 정리하고, 각 재료를 상황에 맞게 똑똑하게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Cavit (캐비트)구성: Zinc oxide 기반, 자가 경화특징: 높은 팽창성, 습기에 의해 단단해짐장점: 간편한 조작성, 마진 적합성 우수단점: 장기 수복에는 부적합 (약한 기계적 강도)Cavit은 근관치료 중간 단계나 짧은 기간 임시 수복에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2. IRM (Intermediate Restorative Material)구성: Zinc o..

치의학 2025.05.11

인수개원은 꿀자리일까? - 1년을 살아낸 치과 원장의 아주 솔직한 이야기

전 원장의 흔적, 망가진 장비, 떠나는 직원들… 인수개원 1년을 버텨낸 한 치과 원장의 기록. 이 글을 읽기 전, 계약서에 도장 찍지 마세요. 1장: 계약서에 통과하던 날봄인데도 바람은 아직 차가웠다. 햇살은 부드럽게 내리쬐었지만, 마음속에는 알 수 없는 서늘한 기운이 감돌았다.작은 상담실. 테이블 위에 계약서가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그 종이는 단순한 서류가 아니었다. 앞으로 몇 년, 어쩌면 인생 전체를 좌우할지도 모를 무게였다. 손끝에 닿는 종이의 감촉이 낯설게 느껴졌다."계약... 하시겠어요?"중개인이 조심스럽게 말을 건넸다. 나는 말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목소리를 내면 떨릴 것 같아서 침묵한 채 펜을 들었다. 그리고, 내 이름을 적었다. 먹을 삼킨 듯한 긴장 속에서, 잉크가 종이에 스며들었다.—[..

치의학 2025.05.10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IC), 정말 제대로 알고 있나요?

GIC와 RMGIC의 차이, 적용법, 주의사항까지 임상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치과 임상에서 꼭 알아야 할 기본 재료 중 하나가 바로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IC)입니다. 최근에는 RMGIC(레진 강화형 GIC)까지 널리 쓰이면서, 어떤 상황에 어떤 재료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많아졌습니다. 오늘은 GIC와 RMGIC의 차이를 중심으로, 임상 적용 포인트를 확실하게 짚어보겠습니다.1.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GIC) 기본 이해구성: Alumino-silicate glass powder + Polyacrylic acid경화 메커니즘: 산-염기 반응(Acid-base reaction)장점플루오르 방출 (Caries prevention)치질과 화학적 결합열팽창계수(CTE)가 치아와 유사단점기계적 강도..

치의학 2025.05.10

입속의 수수께끼, 면역형광으로 풀다 – 리켄플라누스와 친구들

"입안이 하얗게 변하고 아픈데, 대체 왜 이러죠?"이렇게 찾아오는 환자분들, 꽤 많습니다.잇몸이 하얗게, 볼 점막이 울긋불긋하게… 뭔가 수상쩍을 때!단순한 염증이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이 그 뒤에 숨어있을 수도 있습니다.그런데, 문제는...!👀 겉모습만 보면 도무지 구분이 안 된다는 것!이럴 때 등장하는 비장의 무기가 있으니,그 이름하여 — **면역형광 검사(Direct Immunofluorescence, DIF)**입니다. ✨ 면역형광 검사란?간단히 말하면,**"항체가 어디에, 어떻게 붙었는지 빛으로 보는 검사"**에요.특수 염색을 해서,항체나보체 성분이어디에 얼마나 달라붙었는지를 형광 현미경으로 살펴보는 거죠.결과는?빨강-초록 빛깔의 판타지 세계가 열립니다. 🌈🔬 주요 질환별 면역형광 패턴자,..

치의학 2025.05.09

[소독과 감염 시리즈] 3편 – 환자 소독 프로토콜 가이드: 베타딘부터 구강 가글까지 실전 정리

치과 치료 전, 환자의 피부와 구강을 어떻게 소독해야 할까요? Betadine, 과산화수소, 클로르헥시딘 등 실제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치과 소독법을 정리했습니다. “환자 입술 옆 염증 부위가 터졌어요. 치료 전에 소독만 잘했어도 막을 수 있었을 텐데요.”치과에서 감염 예방은 ‘도구만 깨끗하면 된다’가 아닙니다.환자의 입과 얼굴, 심지어 입 안까지도 적절히 소독해야 진짜 감염 관리가 시작됩니다.하지만 정작 ‘무엇을, 언제, 어떻게 쓰는지’ 명확히 알고 있는 의료진은 많지 않습니다.이 글에서는 실제 치과 임상에서 활용 가능한 환자 소독 프로토콜을 소개합니다.📊 주요 개념 설명✅ 1. 피부 소독 – Betadine (포비돈 요오드)농도: 7.5–10%용도: 입 주변, 볼, 턱 부위 피부 소독사용법:..

카테고리 없음 2025.05.09

[소독과 감염 시리즈] 2편 – 치과 멸균법 완전 정복: Autoclave부터 EO 가스까지 비교해드립니다

치과 멸균 방법,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Autoclave, EO 가스, 건열 멸균 등 다양한 멸균법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을 임상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스케일러를 멸균기에 넣고 돌렸는데 플라스틱 손잡이가 녹아버렸어요.”치과 진료실에서 멸균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하지만 ‘모든 기구를 Autoclave에 넣으면 된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멸균은 단지 기계를 돌리는 것이 아니라, 기구의 재질과 용도, 감염 리스크에 따라 맞춤 선택이 필요합니다.이 글에서는 Autoclave(고압증기멸균), EO 가스 멸균, 건열 멸균, 화학멸균 등 주요 멸균법을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쓰는지 비교해드립니다. 📊 주요 개념 설명✅ 1. 고압증기멸균 (Autoclave)온도/시간: 121°C 15분 또..

카테고리 없음 2025.05.09

[소독과 감염 시리즈] 1편 – 혈액검사로 감염 위험을 읽다 (CRP·CBC·ESR 해석 가이드)

CRP, CBC, ESR 수치로 감염과 염증 상태를 파악하고, 치과 수술 전 위험 요소를 미리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단순한 발치인데도, 피가 멈추지 않았습니다.”수술이 계획된 환자에게 꼭 필요한 절차 중 하나가 혈액검사입니다.CRP, ESR, CBC, PT 같은 지표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당신의 몸속에서 벌어지는 면역 반응과 감염 신호를 알려주는 언어입니다.혈액검사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문제를 알려주는 등불 같은 존재입니다.진료를 시작하기 전, 우리는 그 환자의 몸속에서 이미 벌어지고 있을지 모를 전신 상태를 반드시 읽어야 합니다. 📊 주요 혈액검사 항목 설명✅ 1. CRP (C-reactive Protein)정상 수치: 의미: 급성 염증 시 간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수치가 빠르게 ..

치의학 2025.05.09

국시 디테일 끝장정리 🧠 – 치근 이개거리부터 교두 각도까지 미세수치 전부!

🧠 국시 디테일 끝장정리 – 치근 이개거리부터 교두 각도까지 미세수치 전부!실전에서는 결국 디테일이 실력을 좌우합니다. 치근의 분기 위치, 교두 간 거리, 협설경 변화, 우각 크기 차이… 이 모든 건 문제 하나를 맞추냐 틀리냐를 좌우합니다. 오늘은 치과위생사 국가고시 & 치과대 해부학 시험에서 나올 수 있는 미세 수치 항목만을 전용 정리했습니다. 1. 치근 이개 거리 & 위치상악 제1대구치: 치경선 기준 약 4mm 하방에서 이개하악 제1대구치: 치경선 바로 아래에서 이개 – 더 낮고 넓음복근치 평균 이개 위치: 치근 길이의 하부 1/3 부근2. 교두 높이 & 비율상악 제1소구치: 협측교두 8.5mm / 설측교두 7.5mm (1mm 차)하악 제2소구치(3교두형): 근심설측교두 > 원심설측교두 (0.5~1..

치의학 2025.05.08

치아 형태학 수치 총정리 🔢 – 국시 대비 필수 암기표 모음

📊 치아 형태학 수치 총정리 – 시험에 자주 나오는 수치 & 비율형태학에서 숫자는 무기이자 방패입니다. 자주 묻는 치관 길이, 발육 시기, 교두의 면적 비율, 치경선 높이까지 전부 모아서 하나의 데이터 요약편으로 정리했습니다. 1. 맹출 & 석회화 시기상악 중절치: 맹출 7~8세, 치근완성 10세하악 중절치: 맹출 6~7세, 치근완성 9~10세상악 견치: 맹출 11~12세, 치근완성 13~15세하악 견치: 맹출 9~10세, 치근완성 12~14세상악 제1소구치: 맹출 10~11세, 치근완성 12~13세하악 제2소구치: 맹출 11~12세, 치근완성 13~14세2. 치관 & 치근 길이 (평균)상악 견치 치근: 17mm (가장 긴 치근)하악 견치 치관: 11mm (가장 긴 치관)상악 제1소구치: 협설 치관 ..

치의학 2025.05.07

헷갈리는 좌우 치아, 이렇게 구분하세요 – 우각상징·치근상징 꿀팁 모음

치아 구별법 마스터하기 – 상징으로 읽는 치아의 방향성환자의 치아가 좌측인지 우측인지 구별할 수 없다면? 치과 해부학은 시작도 못 해요. 오늘은 치아 구별의 공식 – 4대 상징을 통해 확실히 좌우를 구별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1. 우각상징 (Angle symbol)치아를 순면 또는 협면에서 보았을 때,근심절단우각은 예각이고, 원심절단우각은 둔각근심연은 직선적이고 길며, 원심연은 곡선적이고 짧다치아의 원심 쪽은 치경방향으로 더 기울어져 있음가장 뚜렷한 치아: 상악 측절치가장 미약한 치아: 하악 중절치2. 만곡상징 (Curvature symbol)치아를 절단면이나 교합면에서 보았을 때,순면의 근심반부는 더 돌출되어 있고, 원심반부는 완만형태적 비대칭 – 근심 쪽은 뚜렷, 원심 쪽은 완곡가장 뚜렷한 치아: ..

치의학 2025.05.06

단근치와 다근치 구분법! 치근의 구조와 기능 정리

치근, 그 안의 비밀 구조 – 단근치, 복근치, 다근치 완전 정리치아의 뿌리, 치근(root)은 단순히 고정만 하는 게 아니에요. 혈관, 신경, 림프 – 모두 치근을 통해 치수로 진입하고, 교합력 분산의 핵심 구조이기도 하죠. 오늘은 치근의 모든 것을 해부합니다! 1. 치근의 기본 구조치아의 하부 구조 – 치조골에 식립되어 고정치수강(pulp cavity)의 말단인 치근관(root canal) 존재치수강은 치수와 신경, 혈관, 결합조직으로 구성2. 치근의 분류① 단근치 (Single-rooted teeth)치관 1개 + 치근 1개전치, 하악 소구치, 상악 제2소구치 대부분② 복근치 (Double-rooted teeth)치관 1개 + 치근 2개상악 제1소구치, 하악 대구치 대표적치근이 협·설 혹은 근·원심..

치의학 2025.05.05

삼각융선이 뭐야? 치관을 이루는 엽·융선 구조 이 글로 끝내자

치관의 언어 – 발육엽부터 삼각융선, 횡주융선까지치관이 형성되는 데는 설계도가 있어요. 그 중심엔 발육엽(lobe)이 있고, 그 위를 잇는 선이 바로 융선(ridge)입니다.이번 편에서는 이 치관의 언어를 읽는 법을 정리합니다. 1. 발육엽 (Developmental lobes)치관이 발육될 때 기초가 되는 구조 단위엽과 엽 사이의 경계에 발육구 (developmental groove) 존재전치: 보통 4개의 엽 (3 순면 + 1 설면)소구치: 4개의 엽 (협측 3 + 설측 1) / 하악 제2소구치는 5개 (설측 2)대구치: 보통 4~5개의 엽 (교두 수와 일치)2. 융선 (Ridges)융선은 치아 표면의 선 모양으로 융기된 구조로, 그 기능과 위치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붙습니다.① 변연융선 (Margi..

치의학 2025.05.04

치면·교두·결절 완전 마스터! 치과 구조 용어 쉽게 정리한 글

치아 표면 해부도 – 치면, 연, 각, 첨두, 결절까지 전면 분석치아는 단순히 ‘이’가 아니죠. 그 표면에는 정교한 언어가 있습니다 – 순면, 설면, 협면, 절단연, 교합면, 능각, 첨각, 결절… 이번 편에서는 치관의 지리학을 시작해봅니다. 1. 치면 (Surface of tooth)① 전치부순면 (Labial surface): 입술 쪽 면설면 (Lingual surface): 혀 쪽 면근심면 (Mesial): 정중선에 가까운 쪽원심면 (Distal): 정중선에서 먼 쪽절단연 (Incisal edge): 맞물리는 부분의 날② 구치부협면 (Buccal): 볼 쪽 면설면 (Lingual): 혀 쪽 면교합면 (Occlusal): 저작면2. 연 (Margins)면과 면의 경계 – 치아의 외곽선예: 전치 순면에는..

치의학 2025.05.03

치식 기호 완벽 정리! Palmer부터 FDI까지 한 번에 끝내기

치식과 치아 약호, 도대체 뭘 말하는 걸까? – Palmer, FDI, Universal 완전 정복치과에서 “상악 우측 제1대구치”를 어떻게 기록하냐고요? 이걸 간단하게 나타내주는 게 바로 치식(tooth notation)이에요.국가고시 단골문제, 실무 필수 스킬! Palmer, FDI, Universal 세 가지 시스템을 한 번에 정리해볼게요. 1. 치식이란?치아의 이름과 위치를 간단한 기호 또는 숫자로 표시하는 방법기록, 진단, 커뮤니케이션에 필수적인 치과 언어2. Palmer 표기법 (Zsigmondy system)4개의 사분면에 기호와 숫자 결합영구치: 1~8 (중절치~제3대구치)유치: A~E기호 방향으로 사분면 구분: ┘└┐┌┌8 7 6 5 4 3 2 1 1 2 3 4 5 6 7 8┐┌E..

치의학 2025.05.03

유치와 영구치의 결정적 차이 10가지 – 그림으로 완전 정복

유치 vs 영구치, 무엇이 다를까? – 크기부터 구조까지 완전 비교"선생님, 이거 유치 맞나요?"어린이 환자의 보호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죠. 오늘은 유치와 영구치의 차이를 크기, 구조, 기능, 색상 등 다양한 기준으로 비교해볼게요.시험 대비용으로도, 환자 교육용으로도 딱! 좋은 포스팅입니다. 1. 유치와 영구치의 기본 개념유치 (Deciduous teeth): 생후 6개월부터 맹출하여 총 20개영구치 (Permanent teeth): 6세경부터 맹출하여 총 32개유치는 ‘계승치’를 위한 공간 유지 역할도 함2. 맹출 시기 비교치종유치 맹출 시기영구치 맹출 시기중절치6~7개월6~7세측절치7~8개월7~8세견치16~18개월9~12세제1구치12~14개월6~7세 (영구치 제1대구치)제2구치20~30개월11..

치의학 2025.05.02

치아 주변 조직까지 알아야 진짜다! 백악질·치은·치조골 정리

치아의 친구들 – 치주조직 완전 해부치아는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아요. 그 주변에는 치아를 지지하고 보호해주는 강력한 서포터들이 있죠.이번 시간엔 백악질, 치은, 치근막, 치조골로 구성된 ‘치주조직(Periodontium)’을 완전히 해부해봅니다.1. 백악질 (Cementum)치근 표면을 감싸고 있는 경조직색: 백색, 약간 불투명 – 상아질보다 어둡고 법랑질보다 밝음구성: 무기질 65%, 유기질 23%, 수분 12%골조직과 유사하지만 혈관이 없는 조직기능: 치근막 섬유를 부착, 치아를 치조골에 고정2. 치은 (Gingiva)상악과 하악의 치조돌기를 덮고 있는 섬유성 상피조직치아의 ‘잇몸’이라 불리며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치은열구(Gingival sulcus)는 초기 치주염이 발생하는 부위🪥 치은의 세부 ..

치의학 2025.05.01

본딩제 세대별 총정리: 4세대부터 8세대까지 한 번에 이해하기

본딩제(Adhesive) 시스템의 세대별 차이와 임상 선택 기준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Total-etch와 Self-etch도 비교합니다. 수복 재료를 아무리 잘 선택해도, 본딩제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실패로 이어집니다. 본딩제(Adhesive System)는 수복 치료의 숨은 주역입니다. 오늘은 본딩제의 발전 과정을 세대별로 정리하고, 임상에서의 올바른 선택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본딩제 시스템의 기본 이해본딩제는 치아 구조(법랑질, 상아질)와 수복재료(레진)를 접착시키는 재료입니다. 초기에는 단순히 기계적 결합에 의존했지만, 현대의 본딩은 화학적 결합을 적극 활용합니다.2. 본딩제 세대별 정리4세대 (3-step Total-etch)특징: 에칭 → 프라이밍 → 본딩 3단계 분리장점: 가장 높..

치의학 2025.04.30

치아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법랑질, 상아질, 치수 완벽 비교

이 안의 작은 세계 – 치아를 이루는 조직들겉으로 보기엔 단단한 하얀 덩어리처럼 보이는 치아. 하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아주 정교하게 구성된 세 가지 주요 조직이 있어요.이번 편에서는 법랑질, 상아질, 치수를 중심으로 치아의 내부 구조를 해부학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법랑질 (Enamel)치관의 가장 바깥층을 감싸는 조직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 (경도: 5~6 Mohs)무기질 95~98% / 유기질 약 1.7%칼슘과 인을 포함한 결정 구조 – 석회화 수준이 매우 높음재생 불가능: 손상되면 보철 또는 복합레진 등으로 복원 필요색: 무색 또는 약간 반투명 (상아질 색에 영향을 받음)2. 상아질 (Dentin)법랑질 아래에 위치, 치아 부피의 대부분을 차지황백색, 불투명하며 약간 유연함구성: 무기질 70..

치의학 2025.04.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