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

헷갈리는 좌우 치아, 이렇게 구분하세요 – 우각상징·치근상징 꿀팁 모음

Biosalad 2025. 5. 6. 16:32
반응형

치아 구별법 마스터하기 – 상징으로 읽는 치아의 방향성

환자의 치아가 좌측인지 우측인지 구별할 수 없다면? 치과 해부학은 시작도 못 해요. 오늘은 치아 구별의 공식 – 4대 상징을 통해 확실히 좌우를 구별하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artoon-style guide showing how to distinguish left and right teeth using angle symbol, curve symbol, and root tilt. Use arrows and smiling face icons to enhance memorization


1. 우각상징 (Angle symbol)

  • 치아를 순면 또는 협면에서 보았을 때,
  • 근심절단우각은 예각이고, 원심절단우각은 둔각
  • 근심연은 직선적이고 길며, 원심연은 곡선적이고 짧다
  • 치아의 원심 쪽은 치경방향으로 더 기울어져 있음
  • 가장 뚜렷한 치아: 상악 측절치
    가장 미약한 치아: 하악 중절치

2. 만곡상징 (Curvature symbol)

  • 치아를 절단면이나 교합면에서 보았을 때,
  • 순면의 근심반부는 더 돌출되어 있고, 원심반부는 완만
  • 형태적 비대칭 – 근심 쪽은 뚜렷, 원심 쪽은 완곡
  • 가장 뚜렷한 치아: 상악 제1소구치

3. 치근상징 (Root symbol)

  • 치근을 순면에서 보면, 대부분 원심 방향으로 경사
  • 치근 끝이 원심쪽으로 휘어 있는 것이 일반적
  • 뚜렷한 치아: 대구치, 견치, 상악 측절치
    미약한 치아: 상악 중절치, 하악 중절치

4. 치경선 만곡상징 (Cervical curvature symbol)

  • 근심면에서 치경선은 절단측으로 더 굴곡져 있음
  • 원심면은 더 완만한 곡선
  • 전치부에서 뚜렷하게 나타남

📌 종합 암기 팁

  • 근심 = 예리, 돌출, 길다
  • 원심 = 완만, 둔각, 짧다
  • 치근은 대부분 원심 방향으로 경사
  • 치경선은 근심에서 더 치관 방향으로 만곡

💡 실습 중 이렇게 써먹어요

  • 캐스트 모형 좌우 구별, 엑스레이 판독, 근관 진입 위치 판단
  • 교정 진단 시 치아 회전 방향 해석
  • 보철 제작 시 마진 설정과 방향성 파악
좌우의 비대칭은 자연의 설계도입니다. 그 설계도를 해석할 줄 알면, 치아의 언어가 들립니다.

지금까지 10편의 치아 형태학 시리즈 완독을 축하드립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