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치아 형태학 수치 총정리 – 시험에 자주 나오는 수치 & 비율
형태학에서 숫자는 무기이자 방패입니다. 자주 묻는 치관 길이, 발육 시기, 교두의 면적 비율, 치경선 높이까지 전부 모아서 하나의 데이터 요약편으로 정리했습니다.
1. 맹출 & 석회화 시기
- 상악 중절치: 맹출 7~8세, 치근완성 10세
- 하악 중절치: 맹출 6~7세, 치근완성 9~10세
- 상악 견치: 맹출 11~12세, 치근완성 13~15세
- 하악 견치: 맹출 9~10세, 치근완성 12~14세
- 상악 제1소구치: 맹출 10~11세, 치근완성 12~13세
- 하악 제2소구치: 맹출 11~12세, 치근완성 13~14세
2. 치관 & 치근 길이 (평균)
- 상악 견치 치근: 17mm (가장 긴 치근)
- 하악 견치 치관: 11mm (가장 긴 치관)
- 상악 제1소구치: 협설 치관 길이차 1mm
- 하악 제2소구치(3교두형): 설측교두 1.5~2mm 작음
3. 폭경 정리
- 하악 중절치: 순설경 6mm, 근원심경 5mm
- 하악 측절치: 순설경 6.5mm, 근원심경 5.5mm
- 상악 견치: 순설경 8mm, 근원심경 7.5mm
- 하악 견치: 순설경 7.5mm, 근원심경 7mm
4. 치경선 높이
- 전치부 근심면: 약 3~3.5mm
- 전치부 원심면: 약 2~2.5mm
- 견치: 근심 치경선 높이 2.5mm / 원심 1.5mm
5. 교두 비율 및 형태
- 상악 제1소구치: 협측:설측 교두 비율 = 3:2
- 상악 제2소구치: 협측:설측 비율 = 1:1
- 하악 제1소구치: 협측:설측 = 3:1
- 하악 제2소구치: 협측:설측 = 2:1 (2교두형), 3교두형은 비대칭
6. 사주융선 / 횡주융선 주의사항
- 사주융선: 상악 대구치에서만 출현 (근심설측 ↔ 원심협측)
- 횡주융선: 대부분 소구치에서 교두간 연결 형태로 출현
이 표 하나로, 복습과 암기를 동시에 해결하세요.
시험 직전 요약 정리용, 구강 내 해석에도 활용되는 데이터입니다.
728x90
반응형
'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독과 감염 시리즈] 1편 – 혈액검사로 감염 위험을 읽다 (CRP·CBC·ESR 해석 가이드) (0) | 2025.05.09 |
---|---|
국시 디테일 끝장정리 🧠 – 치근 이개거리부터 교두 각도까지 미세수치 전부! (1) | 2025.05.08 |
헷갈리는 좌우 치아, 이렇게 구분하세요 – 우각상징·치근상징 꿀팁 모음 (0) | 2025.05.06 |
단근치와 다근치 구분법! 치근의 구조와 기능 정리 (0) | 2025.05.05 |
삼각융선이 뭐야? 치관을 이루는 엽·융선 구조 이 글로 끝내자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