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

치아 형태학 수치 총정리 🔢 – 국시 대비 필수 암기표 모음

Biosalad 2025. 5. 7. 16:33
반응형

📊 치아 형태학 수치 총정리 – 시험에 자주 나오는 수치 & 비율

형태학에서 숫자는 무기이자 방패입니다. 자주 묻는 치관 길이, 발육 시기, 교두의 면적 비율, 치경선 높이까지 전부 모아서 하나의 데이터 요약편으로 정리했습니다.

 

치과, 치아 관련 수치 모음 공부하는 모습

 


1. 맹출 & 석회화 시기

  • 상악 중절치: 맹출 7~8세, 치근완성 10세
  • 하악 중절치: 맹출 6~7세, 치근완성 9~10세
  • 상악 견치: 맹출 11~12세, 치근완성 13~15세
  • 하악 견치: 맹출 9~10세, 치근완성 12~14세
  • 상악 제1소구치: 맹출 10~11세, 치근완성 12~13세
  • 하악 제2소구치: 맹출 11~12세, 치근완성 13~14세

2. 치관 & 치근 길이 (평균)

  • 상악 견치 치근: 17mm (가장 긴 치근)
  • 하악 견치 치관: 11mm (가장 긴 치관)
  • 상악 제1소구치: 협설 치관 길이차 1mm
  • 하악 제2소구치(3교두형): 설측교두 1.5~2mm 작음

3. 폭경 정리

  • 하악 중절치: 순설경 6mm, 근원심경 5mm
  • 하악 측절치: 순설경 6.5mm, 근원심경 5.5mm
  • 상악 견치: 순설경 8mm, 근원심경 7.5mm
  • 하악 견치: 순설경 7.5mm, 근원심경 7mm

4. 치경선 높이

  • 전치부 근심면: 약 3~3.5mm
  • 전치부 원심면: 약 2~2.5mm
  • 견치: 근심 치경선 높이 2.5mm / 원심 1.5mm

5. 교두 비율 및 형태

  • 상악 제1소구치: 협측:설측 교두 비율 = 3:2
  • 상악 제2소구치: 협측:설측 비율 = 1:1
  • 하악 제1소구치: 협측:설측 = 3:1
  • 하악 제2소구치: 협측:설측 = 2:1 (2교두형), 3교두형은 비대칭

6. 사주융선 / 횡주융선 주의사항

  • 사주융선: 상악 대구치에서만 출현 (근심설측 ↔ 원심협측)
  • 횡주융선: 대부분 소구치에서 교두간 연결 형태로 출현

이 표 하나로, 복습과 암기를 동시에 해결하세요.
시험 직전 요약 정리용, 구강 내 해석에도 활용되는 데이터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