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

[소독과 감염 시리즈] 1편 – 혈액검사로 감염 위험을 읽다 (CRP·CBC·ESR 해석 가이드)

Biosalad 2025. 5. 9. 12:22
반응형

CRP, CBC, ESR 수치로 감염과 염증 상태를 파악하고, 치과 수술 전 위험 요소를 미리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단순한 발치인데도, 피가 멈추지 않았습니다.”

수술이 계획된 환자에게 꼭 필요한 절차 중 하나가 혈액검사입니다.

CRP, ESR, CBC, PT 같은 지표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당신의 몸속에서 벌어지는 면역 반응과 감염 신호를 알려주는 언어입니다.

혈액검사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문제를 알려주는 등불 같은 존재입니다.
진료를 시작하기 전, 우리는 그 환자의 몸속에서 이미 벌어지고 있을지 모를 전신 상태를 반드시 읽어야 합니다.

 

 

 

 

 

 


📊 주요 혈액검사 항목 설명

✅ 1. CRP (C-reactive Protein)

  • 정상 수치: < 1.0 mg/dL
  • 의미: 급성 염증 시 간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수치가 빠르게 상승하며, 급성 감염과 조직 손상에서 민감하게 반응함.
  • 임상 포인트: CRP 수치가 5 이상이면 감염성 질환 가능성이 높아 수술 연기를 고려해야 함. 예: 급성 치주농양, 골수염.

✅ 2.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 정상 수치: 남성 0–9 mm/hr / 여성 0–15 mm/hr
  • 의미: 만성 염증, 자가면역 질환에서 상승. 단독 사용보다는 CRP와 병행하여 판단.
  • 임상 포인트: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ESR이 높다면 당일 시술보다 염증 조절 후 진행 권장.

✅ 3. CBC (Complete Blood Count)

  • WBC: 5,000–10,000/㎕ → 감염/면역 상태 확인
  • Hb: 남성 13.5–18 / 여성 12–16 g/dL → 산소 운반 능력 판단
  • 의미: 백혈구 증가는 급성 감염 의심, 낮은 Hb는 회복 지연 가능성을 시사.

✅ 4. PT / PTT (Prothrombin Time / Partial Thromboplastin Time)

  • 정상 수치: PT 10–14초
  • 의미: 출혈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는 지표. 항응고제 복용 중이거나 간 기능 이상 시 연장됨.
  • 임상 포인트: 응고 장애가 의심된다면 출혈 대비 준비 혹은 내과 협진 필수.

🔗 중간 CTA + 관련 글 안내

치과 수술 전 꼭 확인해야 할 약물 복용 리스트


💬 실제 임상 사례

“임플란트 수술 전 혈액검사에서 CRP 수치가 4.8로 나왔어요. 감기 후 회복 중이던 환자였는데, 수술을 1주일 연기했습니다.”

또 다른 사례에서는, 수치상 백혈구(WBC)는 정상이었지만 헤모글로빈(Hb)이 낮은 환자의 경우 수술 부위 회복이 지연되고 염증 재발이 빈번했습니다. 이는 체내 산소 운반 능력이 떨어져 조직 재생이 느려졌기 때문이었습니다.

결국, 수치는 진단의 참고서가 아닌 환자의 컨디션을 읽는 지표입니다.


📝 꼭 알려드리는 팁

  • CRP는 급성 감염 여부를 가장 빠르게 반영하는 민감한 수치입니다.
  • ESR은 전신 만성 염증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 CBC를 통해 면역 상태와 빈혈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PT/PTT는 수술 전 출혈 가능성을 예측하는 핵심 수치입니다.
  • 수치는 '결과'가 아니라 '이야기'입니다. 환자의 현재 상태를 말해주는 데이터입니다.

🌐 외부 정보 확인하기

더 많은 감염과 치과 임상 콘텐츠는 👉 Goldeners.com 에서 확인하세요.


📘 요약 카드

  • 주제: 치과 수술 전 감염 위험을 평가하는 혈액검사 지표 정리
  • 핵심 키워드: CRP 혈액검사 해석
  • 대상 독자: 치과의사, 위생사, 전공 학생
  • 핵심 정보: CRP, ESR, CBC, PT 수치의 임상 적용 사례
  • 검색 의도: 수술 전 판단 기준, 임상 응용법 탐색

🙋 마무리 CTA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편에서는 [소독과 감염 시리즈] 2편 – 치과 멸균법 비교를 이어갑니다.

728x90
반응형